현예린 기자
hyseong123@nate.com | 2022-12-12 12:42:47
[공감뉴스=현예린 기자] 코로나19 거리두기 해제 이후에도 좀처럼 골목상권 경기가 회복되지 않는 가운데 연이은 물가 상승과 금리 인상 등으로 자영업자들의 시름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기타서비스업 등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영업자 2022년 실적 및 2023년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자영업자의 상당수는 최근의 경기침체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매출과 순익 실적에 대한 질문에, 자영업자의 68.6%는 올해 매출이 지난해에 비해 감소했다고 답변했다. 올해 순익이 작년 대비 감소했다는 응답은 69.6%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올해 매출은 전년 대비 12.5% 감소, 순익은 12.4%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자영업자의 절반 이상이 내년 매출과 순익이 올해에 비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도 매출 전망에 대해 올해 대비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53.2%로 나타났으며 내년 순익 전망은 응답자의 54.0%가 올해 대비 감소할 것이라고 답했다. 평균적으로 내년 매출과 순익은 올해 대비 각각 3.1%, 3.8%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다음으로 자금사정을 보면 조사대상 자영업자들의 평균 대출금액은 약 9,970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규모가 1억 원 미만이라는 답변이 대부분(72%)이었고 1억 5000만 원 이상 대출을 했다는 응답도 약 16%에 달했다.
또한 현재 부담하고 있는 평균 이자율 수준은 5.9%로 지난해보다 약 2%p 상승했다. 한편 응답자 다섯 중 하나(21%)는 8% 이상의 고금리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진다면 자영업자들의 대출상환 부담은 계속해서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경기회복 시기에 대해 조사대상 자영업자들의 약 60%가 내후년인 2024년 이후라고 답변했다. 내년 하반기 내로 경기가 살아날 것이라고 비교적 낙관적으로 답변한 비율은 40.8%였다. 한편, 자영업자의 약 40%가 향후 3년 내에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한국의 자영업자 비중은 약 25%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 이라면서 “자영업자의 어려움이 장기화되면 결국 서민경제 전체가 휘청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 본부장은 “최소 내년까지는 전쟁 등으로 인해 경제위기 여파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이 힘든 고비를 넘길 수 있도록 자영업자들에 대한 세밀한 정책적 지원이 당분간 지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더(The)공감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