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 김양희 교수 연구팀, 연구논문 ‘Frontiers in Cellular Neurouscience’에 게재

사회 / 박태연 기자 / 2022-10-28 10:27:39
▲/사진제공=세종대
[공감뉴스=박태연 기자] 세종대학교(총장 배덕효)은 바이오융합공학전공 김양희 교수 연구팀<사진>의 연구논문이 의학분야 저널인 ‘Frontiers in Cellular Neurouscience’ 에 게재됐다고 28일 밝혔다.


논문은 ‘Zinc enhances autophagic flux and lysosomal function through tranascription factor EB activation and V-ATPase assembly’라는 제목으로, 아연이 라이소좀 활성을 유도하는 기전 규명과 아연 항상성 조절을 통한 퇴행성 뇌질환 극복에 대한 연구이다.

김양희 교수 연구팀은 퇴행성 뇌질환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세포 내 최종 분해 기관인 라이소좀의 작동 효율을 높여야 한다는 전략을 두고 연구했다.

라이소좀의 각종 분해 효소가 작용하기 위해서는 산성 pH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는 아연이 자식작용과 라이소좀의 기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아연은 V-ATPase의 활성을 높이고 라이소좀의 합성도 증가시켜 세포 내 분해 작용을 촉진시킨다.

라이소좀의 pH를 높이는 약물을 처리한 후에도 아연의 농도를 높여주면 라이소좀의 기능이 회복된다.

라이소좀의 기능 회복은 퇴행성 뇌질환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도 아연이 이를 억제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김 교수는 “나이가 들거나 알츠하이머, 치매 등의 퇴행성 뇌질환 환자의 경우 정상인보다 혈액 중 아연 농도가 낮기 때문에 아연 농도를 적절히 올려줄 수 있다면 노화를 늦추고 퇴행성 뇌질환을 극복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신약개발 연구에서도 좋은 성과를 내고 싶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서울아산병원 황정진 교수 연구팀과 함께 진행됐다.

한편 김양희 교수는 아연 중심의 뇌질환 연구를 토대로 ㈜진큐어(Zincure)를 창업해 노화된 신경세포의 라이소좀에 아연을 공급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는 신약개발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더(The)공감뉴스 박태연 기자(gigi9047@naver.com)

[ⓒ 더(The)공감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