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뉴스=현예린 기자] 최근 코로나19 이후 전자상거래 규모가 증가에도 불구하고 국경 간 전자상거래규모는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상반기 대비 올 상반기 전체 전자상거래(온라인쇼핑거래액) 규모는54.3%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국경 간 전자상거래(해외직접구매액+해외직접판매액) 규모는 15.9% 감소했다.
이는 국경 간 전자상거래 중 수입 지표인 해외직접구매액(이하 ‘해외직구’)은 50.0% 증가했으나 수출 지표인 해외직접판매액(이하 ‘역직구’)가 57.7% 감소했기 때문이다. 해외직구와 역직구의 차이가 점점 벌어지면서 올해 상반기직구액(수입)은 역직구액(수출)의 2.5배에 달했다.
![]() |
1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전자상거래(온라인쇼핑) 규모는 코로나19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 상반기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99조원으로 2019년 상반기 64조원 대비 5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거래가 선호되며 전자상거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전자상거래를 통한 무역인 국경 간 전자상거래 거래규모가 감소한 것은 역직구 규모가 크게 감소했기 때문이다. 2022년 상반기 직구액은 2조7000억원으로,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상반기 1조8000억원보다 50.0% 증가했다.
2016년 상반기 처음으로 역직구액(수출)이 직구액(수입)을 역전한 후 국경 간 전자상거래는 꾸준히 흑자(‘역직구액 – 직구액’ 차이가 [+])였지만 2021년 상반기 들어 5년 만에 직구가 역직구를 재역전하며 국경 간 전자상거래가 적자로 돌아섰다.
올 상반기 기준 우리나라 해외역직구의 69.8%가 중국으로부터 이뤄질 만큼 역직구에 대한 중국 비중은 절대적이다. 중국 소비자의 한국 직구(한국 입장에서는 역직구)는 꾸준히 증가하다가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온라인 면세점 위축 등으로 인해 2020년 하반기부터 감소했다.
반면 한국 소비자가 해외 판매자에게 직접 구매하는 해외직구는 코로나19 이후에도 꾸준히 증가하였는데 특히 해외직구 비중이 39.9%에 달하는 미국에서의 직구는 2019년 상반기 8681억원에서 2022년 상반기 1조 665억원으로 22.9% 증가했다. 중국(101.4%), 유럽연합(46.2%) 등 동 기간 한국 소비자의 다른 지역에서의 직구도 모두 증가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통상 해외직구와 역직구로 불리는 국경 간 전자상거래는 디지털화된 새로운 무역의 형태이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분야로 작은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현지 유통단계가 필요없어 중소기업에 새로운 활로가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유 본부장은 “전 세계적으로 전자상거래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소비자들의 해외직구는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해외 소비자들에 의한 역직구는 면세점 판매액을 제외하더라도 오히려 줄고 있다”며 “해외 소비자들이 한국의 판매자에게 쉽게 접근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 해외소비자의 수요를 끌어오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더(The)공감뉴스 현예린 기자(hyseong123@nate.com)
[ⓒ 더(The)공감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