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공장 1.9MWp 규모 태양광 시스템 내년 초 가동 예정, 글로벌 사업장으로 확대 모색
RE100 이행조치 일환… 2040 RE100 달성, 2045 탄소중립 실현 박차
![]() |
▲현대모비스가 울산전동화공장 주차장에 설치한 태양광 발전설비. 현대모비스는 국내 자동차부품 기업 최초로 RE100 로드맵을 구축하고 2040년까지 전 세계 사업장을 대상으로 재생에너지 100% 전환을 추진하는 등 친환경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제공=현대모비스 |
현대모비스는 울산, 대구, 김천 공장 등 국내 주요 생산거점 3곳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구축했다고 12일 밝혔다.
11월 중 공사가 마무리될 창원 공장까지 총 4곳의 태양광 발전 패널에는 최대출력 485W인 태양광 모듈 5190개가 투입됐다.
구조물 설치 면적은 축구장 1.5배 크기인 약 1만1894㎡에 달한다. 총 설비 용량은 2.5MWp 규모로 연간 3308MWh의 재생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
4인 가구 월평균 전력 사용량(307kWh)을 기준으로 1만여 가구에 월간 사용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연간 1200여대의 전기차(1대당 전력소비량 2.64MWh 가정) 운용이 가능한 규모다.
태양광 발전을 통한 친환경 재생에너지 사용으로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도 기대된다. 4개 공장의 태양광 발전으로 연간 1519톤의 온실가스 절감이 예상된다.
연간 2.5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나무 약 600여 그루를 심는 효과와 같다.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국내 자동차 업계 최초로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 ; 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에 가입한 데 이어 ‘2045년 탄소중립(Net-Zero) 달성’을 선언했다.
2045년까지 국내외 사업장뿐 아니라 공급망과 제품, 지역사회를 포괄하는 전 밸류체인에 걸쳐 최종적 의미의 탄소배출 ‘제로’를 실현하겠다는 목표다.
글로벌 시장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ESG 경영 강화와 더불어 탄소중립과 환경경영 실천에 대한 적극적 의지를 천명했다.
현대모비스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4월 현대차, 기아 등 현대차그룹 5개사와 함께 국내 자동차업계 최초로 RE100에 가입했다.
전 세계 사업장 대상 2030년 65%, 2040년 100% 재생에너지 전환을 목표로 로드맵을 설정해 RE100 기준(2050년)보다 10년 먼저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완료하겠다는 계획이다.
더(The)공감뉴스 김영란 기자()
[ⓒ 더(The)공감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