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산업부, 범부처 ‘PIM인공지능반도체 사업단’ 출범...2028년까지 4천억 투입

정치 / 편집국1 기자 / 2022-09-29 21:05:12
- 메모리 내에서 연산까지 수행하는 차세대 ‘메모리 연산 통합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
▲경기도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개최한 범부처 'PIM인공지능반도체사업단 출범식' (사진 = 과기정통부)
[공감뉴스=편집국1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이창양, 이하 ‘산업부’)이 손잡고 약 4000여억원의 투입되는 ‘‘PIM인공지능반도체 사업’을 위한 범부처 사업단을 출범시켰다.

29일 과기정통부는 올해부터 함께 착수하는 ‘PIM인공지능반도체 핵심기술개발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산업부와 함께 경기도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PIM인공지능반도체 사업단’(이하 사업단)을 출범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PIM인공지능반도체 사업’은 올해부터 앞으로 7년 동안 총사업비 4,027억원이 투입되는 사업이다. 과기정통부는 사업 관리를 위해 이미 지난 7월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내 전담조직을 신설, 사업단 운영을 시작했다.

‘PIM인공지능반도체’는 차세대 반도체로 꼽히는 ‘메모리 연산 통합 지능형 반도체’다.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만 하던 메모리에서 연산까지 수행해 효율을 높이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PIM’은 '메모리에서 연산 처리를 함'이라는 뜻을 가진 ‘Processing-In-Memory’의 줄임말이다.

사업단은 사업기간 동안 사업 기획 뿐 아니라, PIM 특화소자·집적기술, PIM 설계·SW, PIM 공정·장비 등 분야별 기술의 상호 연계를 촉진하고, 관련 국내 반도체 대기업과 팹리스·대학·출연연 간 협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날 출범식에는 정덕균 서울대 교수와 박영준 AI반도체포럼 의장, 이윤식 반도체공학회장, 오윤제 PIM인공지능반도체 사업단장, 김형준 차세대지능형반도체 사업단장 등 국내 인공지능반도체 분야 최고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아울러 정부 및 사업 전담기관에서는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김종석 본부장, 한국연구재단 김덕기 단장 등이 참석했다.

또한, 이날 출범식의 부대행사로, PIM인공지능반도체 신소자, 설계 혁신기반, 메모리 제조공정 등 기술 분야별 연계를 위한 기술교류회가 개최됐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PIM인공지능반도체 핵심기술개발은 뉴욕 구상을 실현하는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의 핵심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기술력을 한 단계 도약시켜 우리나라가 메모리 강국을 넘어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나아가는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과기정통부는 범부처 사업단을 중심으로 산업부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사업이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더(The)공감뉴스 편집국1 기자(josori@theggnews.com)

[ⓒ 더(The)공감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SNS